2023년 4월 8일

출처: chapter 3

출처: 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길벗)

쿠버네티스 설치 - 환경과 사용 가능 환경 개요

쿠버네티스 설치 환경

구분 항목 요구사항
하드웨어 CPU 2개 이상
메모리 2GB 이상
네트워크 고유한 MAC ink
고유한 product_uuid 확인 방법: sudo cat /sys/class/dmi/id/product_uuid
포트 오픈 [마스터 노드]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6443/tcp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2379-2380/tcp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10250/tcp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10251/tcp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10252/tcp
sudo firewall-cmd --reload
[워커 노드]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10250/tcp
sudo firewall-cmd --permanent --add-port=30000-32767/tcp
firewall-cmd --reload

쿠버네티스에서 사용하는 포트

구분 프로토콜 포트 용도
마스터 노드 TCP 6443 API 서버
TCP 2379 ~ 2380 etcd 클라이언트 API
TCP 10250 kubelet API(모든 노드에서 접근 가능한 API)
TCP 10251 스케줄러
TCP 10252 컨트롤러 매니저
워커 노드 TCP 10250 kubelet API
TCP 30000 ~ 32767 노드포트 서비스

쿠버네티스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

쿠버네티스 설치 파일로 직접 설치해 사용할 수도 있고,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에서 제공하는 쿠버네티스(매니지드 쿠버네티스, managed kubernetes)를 사용 가능

컴퓨터의 성능이 좋다면 직접 설치, 매니지드 쿠버네티스 사용하는 것은 편리하지만 요금이 청구

직접 설치해 사용하기

1. 경량 버전의 쿠버네티스 설치하기

쿠버네티스는 마스터 노드와 하나 이상의 워커 노드로 구성됩니다. 하지만 개인 학습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이와 같은 서버를 구매하고 구성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미니큐브(minikube), k3s, k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