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4월 8일

쿠버네티스 대쉬보드 설치

master노드에서 k8s dashboard yaml파일을 다운받아 apply 하여 적용해준다.

mkdir dashboard
cd dashboard
wget <https://raw.githubusercontent.com/kubernetes/dashboard/v2.0.4/aio/deploy/recommended.yaml>
mv recommended.yaml dashboard.yaml

Untitled

kubectl apply -f dashboard.yaml

Untitled

kubernetes-dashboard Service가 잘 적용이 되었는지 확인을 한다.

kubectl get services -n kubernetes-dashboard

Untitled

기본적으로 Type은 ClusterIP로 되어있다. 따라서 외부에서 접속하여 확인을 하기 위해서는 프록시를 사용하거나 NodePort로 Type을 변경해서 사용해야 한다.

<aside> 💡 쿠버네티스 설치 예제를 보게 되면 대부분 NodePort로 네트워크를 열어서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을 하게 되는데 NodePort 방식은 단일 노드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멀티 노드에서 사용하기 어렵고 복잡한 로드밸런싱을 구현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쿠버네티스에서는 노드포트 대신에 로드밸런서나 인그레스와 같은 다양한 방식을 사용하여 멀티 노드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로드밸런서와 인그레스는 HTTP/HTTPS 프로토콜을 지원하여 서비스의 대역폭을 확장하고 보안성을 높이는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따라서, 노드포트 대신에 로드밸런서나 인그레스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aside>

default로 되어있는 Service의 Type이 NodePort라면 수정(겸 확인) 하기 위해 아래 명령어를 입력한다

kubectl edit service kubernetes-dashboard -n kubernetes-dashboard

Untitled